기사 메일전송
흡연을 하나요? 기관지, 폐는 안녕한가요?
기사수정

 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 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 현 회장

▎UNEP 한국위원회 지구환경포럼 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흡연을 하나요? 기관지, 폐는 안녕한가요? >


담배 연기 속엔 7000종의 화학물질, 그중 69종 발암성



2023년 6월 27일 WHO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의 13억 인구가 흡연을 하며, 그중 80%는 저개발 중진국 국민이라고 한다. 

 

흡연은 또 다른 유행병이다. 세계 남성 36.7%와 여성 7.8%가 흡연하고 주로 궐연 담배를 피우며 연간 820만 명이 사망한다. 흡연자 본인 700만 명, 간접 흡연자, 즉 남의 담배 연기에 노출된 사람들 120만 명이 억울하게 죽는다. 

 

흡연과 10대 질병 : 흡연은 죽음을 초래한다. 죽기 전에 공포의 10대 질병과 관련이 있어 발병할 수 있다. 폐암, 구강암, 후두암, 식도암,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심장병, 위궤양, 췌장암, 방광암이다.

 

세계 최대 담배 소비국 : 담배 소비 1위는 중국, 연간 200만 톤, 2위 인도 57만 톤, 3위 일본 33만 톤, 4위 미국 24만 톤, 5위 브라질 20만 톤, 6위 인도네시아 19만 톤, 7위 파키스탄 12만 톤, 8위 러시아 11만 톤, 9위 모잠비크 9만 9,000톤, 10위 북한 3만 7,000톤의 순이다.

 

세계 상위 흡연율 국가 : 2022년 기준 세계 최고 흡연율은 나우루 52.1%를 비롯, 10위 불가리아 38.9%, 한국은 20위 22%이다.

 

 세계 흡연율 상위 10개 국가 

--------------------------------------

순위 국가 흡연율(%) 남(%) 여(%)

--------------------------------------

 1. 나우루 52.1 51.7 52.6 

 2. 키리바시 52.0 68.6 35.5 

 3. 투발루 48.7 66.0 31.4

 4. 미얀마 45.4 70.2 20.8

 5. 칠레 44.7 49.2 40.3

 6. 레바논 42.6 49.4 35.9

 7. 세르비아 40.6 40.1 41.2

 8. 방글라데시 39.1 60.6 17.7 

 9. 그리스 39.1 45.3 32.8

 10. 불가리아 38.9 42.5 35.3

--------------------------------------- 

 

흡연 관련 사망자 : 2019년 현재 인구 10만 명당 높은 흡연 관련 사망자를 기록한 국가는 1위 세르비아 356명, 2위 불가리아 299명, 3위 몬테네그로 284명, 4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69명, 5위 노스 마케도니아 257명, 6위 헝가리 256명, 7위 크로아티아 247명, 8위 그리스 246명, 9위 모나코 245명, 10위 몰도바 230명의 순이다. 

 

한편 낮은 흡연 사망자 국가 그룹은 47위 산 마리노 123명, 48위 아제르바이잔 123명, 49위 아일랜드 123명, 50위 핀란드 122명의 순으로 기록되었다.

 


흡연과 폐암 : 미국 CDC에 따르면 폐암 사망자의 80~90%가 흡연과 관련이 있다. 이는 궐연 담배가 연소 시 7,000종의 화학물질이 발생하며 최소 69종이 발암성 물질이고 나머지 다수가 유독, 유해 물질이다.

 

이런 유해 물질을 흡입하면 폐의 세포, 조직을 손상 시켜 폐암을 유발하며 장기간 흡연자, 하루 여러 갑의 궐연 흡연자는 비 흡연자에 비해 2~4배 폐암 발생 위험이 높다고 의사들은 지적한다.

 

흡연의 단계 별 폐해 : 1단계 호기심으로 흡연 시작, 20년 계속하면 탐닉, 30년 궤양 발생, 40년 발기부전, 50년 발암, 60년 사망에 이른다.

 

흡연은 상기한 내용과 같이 인체의 세포, 조직, 기관에 영향을 끼쳐 각종 암이나 질병을 유발하고 어느 하나 간단히 치유되지 않는다.

 

생명과 바꾸는 ‘백해무익’한 흡연은 절대 호기심으로 시작하지 말고 흡연자는 단호하게 금연하고 미련이 있으면 담배 파이프의 니코틴을 채취하여 그 맛을 보면 흡연 호기심이 영원히 사라질 것이다. 

 

한편, 뉴질랜드는 2021년 12월 13일 미래 세대의 흡연을 막기 위한 금연 법을 세계 최초로 통과시켰다. 매년 법적 흡연 연령을 제한하여 2009년 1월 1일 이후 태어난 사람에게 평생 담배 판매를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고 2027년부터 14세 이하 청소년에게 담배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도 추진 중이며 현재 성인의 흡연율 13%를 2025년까지 5%로 줄이는 목표를 추진 중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fksm.co.kr/news/view.php?idx=6481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