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프리카 맹금류 개체 수 큰 폭으로 감소, '멸종위기종' 증가
기사수정


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관리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 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 현 회장

▎UNEP한국위원회 특별자문위원 / 지구환경포럼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환경 도서 5,100권 사회에 환원



< 아프리카 맹금류 개체 수 큰 폭으로 감소, '멸종위기종' 증가 > 


원인은 서식지 파괴, 농약 남용, 밀렵, 벌목 등 사람이 주범 


 루펠 독수리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스코틀랜드의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St Andrews University) 연구진이 최근 40년 간 아프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맹금류 106종에 대한 조사 결과, 42종 맹금류의 약 90%가 급격히 개체 수가 감소했으며 2/3 이상이 전 지구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연구 주관 : 스코틀랜드의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생물학과 연구진(연구 저자 필 쇼 박사, Dr. Phil Shaw)과 송골매기금(ThePeregrine Fund)연구팀과 공동으로 조사하고 결과를 2024년 1월 4일 학술지 ‘Nature Ecology & Evolution’에 발표하였다. 

 

조사 기간 & 구역 : 1969년~1995년, 2000년~2020년 2회로 나눠 44년간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을 서부 아프리카(부르키나 파소, 니제르, 말리), 중앙아프리카(북카메룬), 동부 아프리카(케냐), 남부 아프리카(북보츠와나) 4구역, 6개국으로 나눠 국립공원과 보호구역(PAs), 비보호지역(UPAs)으로 구분하여 맹금류 3대에 걸친 개체 수 감소에 관한 표본조사 ‘도로절개기법’ (Road transect survey’)으로 조사하였다. 

 

맹금류 종별 개체수 감소 : 아프리카의 대표적 맹금류로 가장 높이 10,973m까지 비상하는 루펠수리를 비롯하여 날개길이 2.6m, 체중 6.2kg의 가장 거대한 잔점배무늬수리, 강력한 달마수리, 아프리카 아이코닉 조류인 비서새 등 종별 개체 수 감소율이 급격히 줄면서 국립 공원에서 의지하며 연명하고 88%가 자취를 감추었다. 

 

 

 아프리카 대륙의 대표적 맹금류 종별 개체 수 감소율

----------------------------------------------------------

순위 일반명 영 명 학 명 감소율 

----------------------------------------------------------

 1. 루펠수리 Ruppell’s vulture Gyps rueppelli 98%

 2. 이집트수리 Egyptian vulture Neophron percnopterus 91%

 3. 아프리카뿔수리 African hawk-eagle Aquila spirogaster 91% 

 4. 주름얼굴수리 Luppet-faced vulture Torgos trachliotus 90%

 5. 잔점배무늬수리 Martial eagle Polemaetus bellicosus 90%

 6. 흰머리수리 White-headed vulture Trigonocaps occipitalis 90%

 7. 흰등수리 White-backed vulture Gyps afrucanuys 89%

 8. 달마수리 Bateleurs Terathopius ecaudatus 87% 

 9. 비서새 Secretary bird Sagittarius serpentarius 85% 

 10.다크챈팅매 Dark chanting goshawk Melierax metabtes 41%

 11.아프리카해리어매 African harrier hawk Polyboroides typhus 30%

 ------------------------------------------------------------- 

 

조사 결과 : 아프리카 서식 42종 맹금류 중 약 90%가 급격히 개체 수가 감소하였고 2/3 이상이 IUCN에 의해 전 지구적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형 독수리 종에서 고율로 나타났고 매 종류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비보호 지역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며 국립 공원에서 조차 보기 드문 현상이 나타났고 4개 구역 중 서부 아프리카에서 극심하였다. 

 

감소 원인 : 첫째 맹금류 서식지가 농지로 변경되었고 둘째 농약과 살충제 남용, 셋째 밀렵, 트랩, 독 미끼 이용, 벌목, 환경오염 등 인구 증가에 따른 인위적 재해이며 넷쨰 일부 기후변화, 산불 등 자연의 영향도 작용하였다.

 

앞으로 대책은 2030년까지 지구 육지의 30%를 목표로 보호 지역을 확보한다는 COP15 유엔생물다양성회의에서 합의한 정책에 입각하여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보호 구역의 효과적인 관리가 추진될 전망이다. 


달마 독수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fksm.co.kr/news/view.php?idx=6534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