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소나무재선충병’의 이해와 근본적 방제 대책
기사수정

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관리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 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 현 회장

▎UNEP한국위원회 특별자문위원 / 지구환경포럼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환경 도서 5,100권 사회에 환원



< ‘소나무재선충병’의 이해와 근본적 방제 대책 >


솔수염하늘소소나무 재선충병(材線蟲病, Pine wilt disease)이란 감염된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북방수염하늘소(M. salturius)가 소나무류 수피를 갉아 먹을 때 생기는 상처를 통해 소나무재선충(Bursaphlenchus xylophilus)이 줄기 안으로 침입하여 터널을 파고 줄기를 갉아 먹으며 급속히 증식하여 송진 분비가 막히고 알코올, 테르펜과 같은 휘발성 물질이 분비되면서 수분과 양분의 흐름에 이상이 발생하여 급속히 고사되는 일명 소나무 에이즈이다.

 

소나무 재선충병은 북미에서 처음 시작하여 20세기 일본으로 그 후 중국, 한국, 타이완, 러시아, 유럽의 스페인, 포르투갈까지 전파되었고 멕시코, 캐나다에도 발생하고 있다. 

 

이 재선충병은 솔수염하늘소가 가을에 고사목에 산란하면 부화한 유충들이 월동하고 4령 탈피한 후 번데기로 변하여 우화하여 성충이 되며 건강한 소나무에 침입, 고사시키고 매개체는 균류(Fungi)를 섭취하며 서식한다.


  (출처 : 한국임업진흥원)

 

재선충이 감염된 소나무는 6일 만에 솔잎이 밑으로 처지고 20일 후에는 잎이 시들기 시작하며 30일이 지나면 급속히 황갈색으로 변색하며 고사된다. 즉, 감염된 해에 약 80%, 나머지 20%는 이듬해 3월까지 100% 고사한다.

 

방제법은 1) 유기인제인 페니트로치온(Fenitrothioin), 또는 펜치온(Fenthion), 카바메이트(Carbamate), 메탄 소듐(Metan Sodium), 다조메트(Dazomet), 메칠 이소치오사이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등 농약을 분무한다. 

 

 2) 천적인 딱따구리가 재선충 성충, 유충, 번데기 구제에 도움이 된다.

 3) 피해목의 줄기에 구멍을 뚫고 농약 아바멕틴(Abametin),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유제를 주입, 재선충을 죽이는 방법이다.


 4) 넓은 소나무류 산림을 능률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드론이나 경비행기를 동원하여 소나무 수관(樹冠)에 농약을 살포한다.

 5) 고사목을 벌채, 파쇄 후 밀봉하여 훈증 처리한다.

 

유충 침입 터널, 죽어가는 소나무

방제 대책 역사 : 1988년 부산시 동래구 금정산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최초로 발생하여 2005년 5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하고 2015년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지침이 제정되었다.

 

2016년 한국임업진흥원에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가 개원되었다.

 

피해 범위 : 2007년 2월 9개 시도 55개 시, 군, 구로 확산되고 2023년 4월 기준 전국 142개 시, 군, 구에서 107만 그루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1, 부산 13, 대구 7, 광주 3, 대전 1, 울산 5, 세종 1, 경기 19, 강원 9, 충북 5, 충남 14, 전북 10, 전남 13, 경북 21, 경남 18, 제주 2개 지역 등 전국적 규모로 확산되었다. 

 

방제 현황 : 1988~2022년 전국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는 총 1499만283그루이고 그중 경남 472만1756그루, 경북 285만7712그루, 제주 207만6734그루, 부산 180만2098그루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방 대책 : 첫째, 건강한 소나무류에 살충제(농약)를 예방 차원에서 살포하고 둘째, 수간주사 아바멕틴을 2년 연속 주사하며 셋째, 소나무류가 건조하지 않도록 살수하여 수분을 유지시킨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fksm.co.kr/news/view.php?idx=657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