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쥐 구제 대책과 전문가 타이슨(Tyson)의 교훈
기사수정

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관리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 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 현 회장

▎UNEP한국위원회 특별자문위원 / 지구환경포럼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환경 도서 5,100권 사회에 환원



< 쥐 구제 대책과 전문가 타이슨(Tyson)의 교훈 >


세계의 쥐 분포지도(적색, 쥐 서식지역) 

쥐(Rat)는 세계적으로 7과 220속 1,800여 종이 서식하며 그중에서 주가성(住家性) 쥐는 시궁쥐(Brown rat, 학명, Rattus norvegicus),곰쥐(Black rat, 학명 R. rattus), 생쥐(House mouse, 학명 : Mus musculus) 3종이 있으며 들쥐 중에는 등줄쥐(Striped field mouse,

학명 Apodemus agrarius)가 중요한 종이다. 

 

 지구상에 쥐없는 나라는 아이슬란드, 캐나다의 알버타(Alberta) 뿐이다. 

 

쥐는 위생학적으로 벼룩, 진드기 등 위생 해충의 숙주로서 역할을 하며 그 과정에서 세균, 리케차, 바이러스 등 병원체를 매개하여 페스트(흑사병), 서교열, 쯔쯔가무시병, 신증후군출혈열, 살모넬라증 등의 질병을 전파한다.

 

체중 약 400g의 암컷은 한 번에 6~12마리의 새끼를 낳고 시각, 청각이 닫힌 상태에서 태어난 새끼는 1주 후에 정상 회복되어 3주 만에 성숙하고 스스로 먹이를 찾아 자립한다.

 

어미 쥐는 1년에 8번까지 출산하고 1년에 최대 1.250마리를 왕성하게 번식하며 수명은 2~3년이다.

 

쥐는 야간활동성이며 상하 양턱에 문치가 각각 한 쌍씩 있다. 하루 0.5mm 정도 자라기 때문에 단단한 물건을 계속 갉아 일정한 길이로 유지하기 위해 가구나 전설 줄 등을 갉아서 화재의 원인이 되고 낯선 물체를 보면 기피하는 경계심이 강하며 선 자리에서 60cm까지 뛰어오를 수 있고 넘을 때는 1m까지 넘는다. 

 

수영 능력은 시궁쥐, 곰쥐는 1km/h, 생쥐는 0.7km/h까지 수영을 하고 50~72시간 물에 떠 있을 수 있다. 러시아와 중국이 냉전 시대에 시베리아 대흉년이 계속되던 해에 수백만 마리의 쥐 떼가 서로 꼬리를 물고 아무르강(흑룡강 黑龍江, Amur River)을 건너 중국으로 침입한 이변이 발생하였다.

 

쥐가 옮기는 국내외의 주요 질병을 아래에 정리하였다.

 

 집쥐/들쥐 전파 주요 질병 일람

 

-----------------------------------------------------------------------

 질병명 영 명 병원체 매개체/매개물 

-----------------------------------------------------------------------

 서교열(鼠咬熱) Rat bite fever Spirillium minus 쥐에 물림 

-----------------------------------------------------------------------

 페스트(흑사병,黑死病) Pest Yersinia pestis 열대쥐벼룩 

-----------------------------------------------------------------------

 발진열 Murine typhus Rickettia typhi 쥐벼룩 

-----------------------------------------------------------------------

 쯔쯔가무시병 Tsutsugamushi infection R. orientalis 쥐털진드기유충 

-----------------------------------------------------------------------

 살모넬라증 Salmonellosis Salmonella typhimurium 쥐분뇨 오염식품 

------------------------------------------------------------------------ 

 신증후군출혈열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antavirus 등줄쥐분뇨

------------------------------------------------------------------------

 한타바이러스폐증후군 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Hantavirus 쥐분뇨

------------------------------------------------------------------------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Leptospira 쥐오즘 오염식품, 흙

------------------------------------------------------------------------

 라싸열 Lassa fever Lassavirus 다유종들쥐 배설물 

------------------------------------------------------------------------

 

쥐 생포용 트랩 

쥐 구제 방법은 환경적, 생물학적, 화학적 방법 등이 있으나 가장 근본적인 대책은 환경적 방법이다. 도시가 방서적 건축물, 도로 포장, 가정 쓰레기의 밀폐식 용기에 보관, 처리하는 환경에서 살아남을 장소는 하수도관이며 영국 위생요원들이 맨홀에 쥐잡이 낚시줄을 설치하고 점검하며 죽은 쥐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수거하여 처리하고 있다.

 

생물학적 방법인 천적 이용은 주거지역에서 고양이, 개 등이 도움이 되고 국립공원에서 족제비, 담비(포유류), 올빼미, 부엉이(맹금류), 뱀(파충류)등의역할이 들쥐 개체수 조정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화학적 방법인 쥐약은 어린이, 가축에게 우발적인 피해가 발생하므로 주로 항응혈제 왈파린을 적용한다.

 

미국 스미스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e)의 쥐 전문가 타이슨(Tyson)박사가 경기도 파주에서 1967년 1년간 쥐 개체수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잡을 수 있는 쥐(catchable rat)가 인구 1인당 1.2마리로 밝혀졌다.

 

 그는 구서 작업을 아래 방법과 순서로 수행할 것을 권고하였다.

 

 1) 주방 쓰레기의 밀페식 용기 저장, 처리하여 쥐 먹이를 최대한 줄인다.

 2) 쥐 굴, 은신처는 즉시 밀폐,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스트레스를 가한다.

 3) 주거지역 내에 천적인 고양이, 부엉이를 기른다. 

 4) 쥐의 먹이를 관찰하여 트랩 미끼(생선, 수수, 대추, 밤 등)로 이용한다.

 5) 트랩 : 빈 김치독에 반쯤 물담고 수수이삭을 띄워 쥐를 유인한다.

 6 방화수통 위에 신문지를 X 대각선으로 잘라 덮고 증심부에 구은 북어

 머리를 놓아 쥐가 접근하여 익사하도록 유인한다. 

 7) 구서 작업 참가자를 적극 장려한다.(당시 쥐꼬리 1개당 1,000원 지급)

 8) 쥐약은 왈파린을 사용하고 이웃에 알려 어린이, 가축 피해를 예방한다.

 9) 구서 작업은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일제히 실시한다.

 

쥐는 아시아에서 발원하여 1500년대 유럽, 1750년 북미대륙, 이후 점진적으로 전 지구에 이주하여 인류의 막대한 식량을 소비 및 오염시키고 각종 질병을 전파하여 무수한 생명을 희생시키고도 인류와의 경쟁에 휴전이 없다. 

 

따라서 각국은 캐나다 알버타주가 수행한 쥐 구제 전략을 탐구하여 쥐없는 지역사회, 국가발전에 매진하여야 하겠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fksm.co.kr/news/view.php?idx=672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