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세계인구의 날(World Population Day)에 관심을...
기사수정

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관리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 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 현 회장

▎UNEP한국위원회 특별자문위원 / 지구환경포럼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환경 도서 5,100권 사회에 환원



< 세계인구의 날(World Population Day)에 관심을... >

2024 세계인구의 날 포스터

 ‘세계인구의 날(World Population Day)’은 1987년 7월 11일 세계인구가 50억 명을 돌파하여 UN 산하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이 이날을 세계인구의 날로 지정한 국제 기념일이다. 

 

2011년도 국제연합인구기금(UNFPA)은 여성과 젊은이에게 교육 및 가족계획에 더 나은 기회를 주자는 취지에서 ‘70억 운동’을 시작하였고, 그해 10월 31일에 세계인구가 70억 명을 기록하였다. 

 

세계인구의 증가추세를 보면, 기원전 30년경 약 2.1억 명에서 2.5억 명이었던 인구가 1650년 약 5.5억 명, 1750년 경에는 약 6.2억 명, 1850년에는 약 2배인 12억 명으로 증가하였고 1950년에는 약 24억 명, 1975년 39억 7천 명, 2011년 70억 명, 2021년 79억 명, 2022년 11월 UN은 세계인구가 80억 명에 달했고 2024년 7월 11일 현재 81억 명이라고 발표하였다.

 

이와 같이 근세에 이르러 세계인구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였고 근대에 급증하면서 현대에는 폭발적인 증가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추세는 1949년 정부수립 직후 2,000만 명, 1967년 3,000만 명, 1983년 4,000만 명, 2012년 6월 23일 5,000만 명이 넘었으며 2016년 5121만 명, 2019년 5170만 명, 2020년 5178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고 2024년 7월 9일 5174만 명으로 감소 중이다. 

 

UN은 앞으로 2030년 86억 명, 2050년에는 98억 명으로 증가하고 그중 66%가 도시에 거주하게 되며 이민의 가속화로 2100년에 이르러 112억 명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예측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유럽 등 일부 선진국에서 출산율이 크게 감소하고 있어 정확한 인구증가 예측은 어려움이 있다.

 

 세계 10대 대량 인구 국가(2024) 

----------------------------------------

순위 국명 인구(2024) 세계(%)

----------------------------------------

 1. 인도 1,441,719,852 18.01

 2. 중국 1,425,178,782 17.80

 3. 미국 341,814,420 4.27

 4. 인도네시아 279,798,049 3.50

 5. 파키스탄 245,209815 3.06

 6. 나이지리아 229,152,217 2.86

 7. 브라질 217,637,297 2.72

 8. 방글라데시 174,701,211 2.18

 9. 러시아 143,957,079 1.80

 10. 에티오피아 129,719,719 1.62

---------------------------------------- 

 출처 : World Population Review


증가하는 세계인구인구는 한 나라의 국력이자 정책의 기반이다. 더욱이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국방 현실과 인간으로 인한 환경 훼손 문제 아울러 사회적, 경제적 관련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위정자, 정치인뿐 아니라 전 국민이 우리나라의 적정 인구수요 확보를 위한 국가 인구정책에 비상한 관심을 갖어야 할 때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fksm.co.kr/news/view.php?idx=674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