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관리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현 회장
▎UNEP한국위원회 특별자문위원 / 지구환경포럼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환경 도서 5,100권 사회에 환원
< 세계의 가장 맑은 10대 강 >
스위스 베르자스카 강
지구상의 강물은 세계 인구의 주된 수원이자 야생의 서식지이다.
그리고 추산할 수 없는 경제적, 환경적 재물이며 기후변화와 투쟁하는 위대한 동맹이다.
세계의 200억 인구가 직접 강물을 음용하며 세계 식량의 25%가 강물을 이용해 자라고 매년 최소한 1,200만 톤의 어획량을 거둔다.
강물의 수질 요건 : 맑고 안전한 강물의 구비 요건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무색(無色), 무취(無臭) 일 것.
2) 투명(透明) 할 것.
3) 불순물, 부유물질이 적을 것
4) 적당량의 무기질(미네랄), 무기염류를 함유할 것.
5) 유해 미생물이 없을 것
다음은 Testbook이 선정한 세계 10대 맑은 강의 실태이다.
- 베르자스카 강(Verzasca River) : 스위스 남부 티치노(Tichino)주에 위치한 이 강은 산악지형에 있는 계곡 강으로 길이 30km이다. 스위스 남부 알프스의 피조 바론(Pizzo Barone), 고도 2,864m에서 발원하여 바르자스카 계곡을 거쳐 스위스와 이탈리아 사이의 마죠레(Maggiore)호수로 흘러든다. 계곡에 세워진 아치형 로마교는 사진 촬영의 명소다.
바우 강(Bow River) : 캐나다 앨버타(Alberta)주에 위치한 강으로 캐나다 로키산맥에서 발원하여 올드먼 강(Oldman River)에 유입되는 길이 587km이다. 강 이름은 앨버타주 원주민들이 갈대를 이용하여 활을 만들었던 데서 유래되었다.
강물은 유역 도시의 상수원, 관개용수, 수력 발전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 소차 강(Soca River) : 슬로베니아 서부와 이탈리아 북동부를 흐르는 길이 138km이다. 알파인 강의 성격을 지닌 강의 수원은 슬로베니아 북서부 고도 876m의 줄리안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트렌타 계곡(Trenta Valley)을 흐른다. 슬로베니아 서부에서 96km, 솔칸교(Solkan Bridge)를 지나 이탈리아 동북부의 43km 구간을 흐른다.
- 톨 강(Tuul River) : 몽골 헹티 주의 1,200km의 헹티산맥에서 발원하여 오르콘강(Orkhon River)과 합류하여 수도 울란바타르(Ulanbaatar) 50km 떨어진 곳을 흘러서 셀렝가강(Selenga River)과 합류하여 러시아의 바이칼호에 최종 흘러드는 길이 882.8km의 강이다.
화강암에 침염수가 욱어진 헹티산맥과는 달리 평지에는 황량한 사막지대, 다만 강 유역에는 버드나무 군락과 초원이 펼쳐져 있고 수도 울란바타르 시민에겐 생명수이며 별칭 ‘톨 여왕(Queen Tuul)’으로 불린다.
- 프리오 강(Frio River) : 미국 텍사스 주에 있는 강이다. 프리오(Frio)라는 단어는 스페인어로 추위를 의미하며 봄에 공급되는 시원함을 나타낸다. 강은 동, 서, 건조 프리오 3개 지류가 있고 길이는 377.17km이다.
서부 프리오강의 발원은 동북부 Real County 용천수이며 Leakey 마을 근처에서 동 프리오강과 합류하며 건조 프리오강과는 동북부의 Uvalde에서 합류한다. 이 강은 동남 방향의 Nueces 강과 합류하기까지 200마일을 흘러 Three River 마을 남부 유역의 Choke 캐니언 저수지에 물을 공급한다.
여름철 Garner주립공원의 여가선용에 인기가 높고 Leakey 남쪽 16km, San Antonio 서쪽 121km에서 각각 캠핑, 낚시, 보트 놀이를 즐긴다.
- 데인트리 강(Daintree River) : 호주 퀸즐랜드 주의 파 노스 퀸즐랜드의 케이프 트리블레이션 근처 데인트리 열대우림에서 발원하는 길이 140km의 강이다. 이 강은 Cains 북부 약 10km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Wet Tropics of Queensland 관광 명소이다.
강은 데인트리 국립공원 내의 고도 2,270m인 Great Dividing Range의 Kalkajaka 아래에서 북, 동, 남, 동으로 열대우림 산림을 관류하므로 청정수질을 유지한다.
Cains Marine Park에 유입되기 전에 2개의 지류가 있고 맹그로브 숲속의 늪지는 염분이다. Wonga해변 북쪽에서 산호해로 흘러든다.
- 타라 강(Tara River) : 별칭이 ‘유럽의 눈물(Tea of Europe)’인 타라강은 유럽에서 가장 감동적이고 아름다운 강이다. 몬테네그로 Komovin에서 발원, 길이 145km인 이 강은 길이 100km, 깊이 1.3km의 캐니언(Canyon)을 흐른다. 타라 캐니언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미국의콜로라도 캐니언에 이어서 두 번째의 깊은 협곡을 형성하고 있다.
몬테네그로 타라 강
맑고 음용 가능한 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풍부한 동식물, 많은 생물고유종, 유역에는 수차, 고풍스러운 교회, 수녀원, 교량, 숨이 막히는 자연경관, 래프팅, 보트, 카약, 카누 경기 등, 모험의 천국으로 알려졌다.
- 푸탈레우푸 강(Futaleufu River) :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북부의 아르헨티나와 칠레 국경을 횡단하는 2개의 강 중 하나로 길이는 5,308m,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아르헨티나 추부트주의 로스알레르세스(Los Alerces)국립공원의 최고봉인 높이 2,440m의 Cordon de Las Piramides와 그 외에 둘러싼 여러 고봉의 빙하가 녹은 물이 발원이다.
Futaleufu란 토착민 마푸체어 언어로 ‘큰 강(Big River)’이며 계곡은 ‘신이 그린 풍경화(a landscape painted by God)’를 의미한다.
- 템즈 강(Thames River) : 잉글랜드 글로스터셔카운티(Gloucestershire County)에 있는 코츠월드(Cotswolds) 근에서 발원하여 잉글랜드의 남부를 흐르는 길이 346km이다. 이 강은 잉글랜드 최대의 강이며 세번 강(Severn River) 다음으로 영국의 두 번째 큰 강이며 여러 유명도시인 레딩, 윈저, 옥스퍼드를 거쳐 런던을 동서로 관류한 다음 북해로 흘러든다.
한때 템즈 강은 극심한 오염으로 모든 어류가 살 수 없었고 런던 콜레라가 대유행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나 오랜 세월 환경법령의 엄격한 시행과 시민의 협력으로 오늘날 세계 굴지의 청정 템즈 강으로 복구되어 세계적인 모범사례로 평가를 받고 있다.
- 잠베지 강(Zambezi River) : 아프리카의 4번째로 긴 강이며 인도양으로 유입되는 최대의 강이고 길이는 2,574km이다. 발원지는 잠비아 노스-웨스턴 주의 Mwinilunga 북쪽 50km의 산림지이다. 이 강은 잠비아에서 앙골라로 흘러 나미비아-보츠와나 국경을 거쳐 잠비아-짐바브웨 국경에서 빅토리아 폭포(Victoria Falls)를 형성하고 짐바브웨, 모잠비크를 관류하여인도양으로 흘러든다.
잠비아와 짐바브웨의 국경인 카리바 댐(Kariba Dam)에서 세계적 규모의 수력발전으로 양국에 전력을 공급하며 모잠비크의 카호라 바사 댐(Cahora Bassa Dam)에서도 발전하여 모잠비크와 남아프리카에 송전한다.
< </strong>세계의 가장 맑은 10대 강의 실태>
---------------------------------------------------------
순위 강명 영명 길이(km) 소재국
---------------------------------------------------------
1. 베르자스카강 Verzasca River 30 스위스
2. 바우강 Bow River 587 캐나다
3. 소차강 Soca River 138 슬로베니아
4. 톨강 Tuul River 882.8 몽골
5. 프리오강 Frio River 377.17 미국
6. 데인트리강 Daintree River 140 호주
7. 타라강 Tara River 145 몬테네그로
8. 푸탈레우푸강 Futaleufu River 5,308 아르헨티나
9. 템즈강 Thames River 346 영국
10. 잠베지강 Zambezi River 2,574 잠비아
-------------------------------------------------------
세계의 여러 큰 강들이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업폐수의 과도한 유입과 폐기물 투기 등 인위적 요인, 홍수, 한해 등 자연재해로 오염물질 축적, 산소 고갈로 상수 이용의 제약과 생물서식 불능의 죽엄의 강으로 변해 복구와 유지관리에 막대한 예산, 인력 최신기술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맑은, 때 묻지 않은 강물의 소중함을 재삼 인식하고 산천 계곡에서 취사하고 오물을 버리는 행위는 일체 근절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