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승 / 저술가, 환경계몽가
▎영국스트라스클라이드대 대학원 환경관리공학 졸업
▎대한위생학회 초대회장,명예회장
▎환경보건청담회 초대 회장,현 회장
▎UNEP한국위원회 특별자문위원 / 지구환경포럼회장
▎[저서] 환경보건학 외 13권 / 환경 도서 5,100권 사회에 환원
< 수도 서울의 대기질은 어떠한가? >
대기오염 방지 포스터
서울은 인구 1,000만 명의 대한민국 수도이다. 서울에는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선정된 삼성, 현대, 엘지의 본부가 위치해있다.
2020년 말 서울은 맑은 대기질을 경험했었다. 미국의 대기질 지수(AQI) 50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주요 오염물질인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가 12ug/m3, 그 외의 오염물질 농도는 보통(Moderate)수준으로 야외활동을 권장하고 창을 열면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었다.
WHO가 설정한 대기질 가이드라인(AQG)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권고기준으로 2021년 9월 22일 강화된 기준을 발표하였다. 한편 영국,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들은 독자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WHO는 대기오염으로 인해 매년 세계적으로 약 700만 명이 기대수명에 이르지 못하고 조기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WHO 산하기관인 국제암연구소(JARA)가 2013년 제1군 발암성물질로 지정한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 등 6개 오염물질의 권고기준을 강화하여 이들 오염물질과 관련있는 사망자의 80%를 감소하고 인류의 건강 보호를 위해 기준을 강화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는 폐 깊숙이 침투하며 특히 초미세먼지의 경우 혈류에 유입하여 심혈관과 호흡기, 다른 장기에도 영향하여 사인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
세계 한국
1) 만성페쇄성폐질환 : 48% 1) 제2형 당뇨병 : 20%
2) 상기도감염 : 30% 2) 만성폐쇄성폐질환 : 19%
3) 심혈관계질환 : 28% 3) 기관지 및 폐암 : 19%
4) 뇌졸증 : 27% 4) 뇌졸중 : 17%
5) 기관지 및 폐암 : 19% 5) 심혈관계질환 :15%
6) 제2형 당뇨병 : 18% 6) 상기도감염 : 14%
7) 선천결함 : 14% 7) 선천결함 : 6%
------------------------------------------------------------
이러한 WHO의 대기질 가이드라인(AQG) 강화에 따라 미국도 대기질 지수(AQI)를 개정하여 우리나라의 대기환경기준과 격차가 벌어졌으나 앞으로 이들 기준을 참고로 점진적인 대기질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WHO 대기질 권고가이드라인(AQG) (단위 ug/m3)
------------------------------------------------------
오염물질 평균시간 2021년
-------------------------------- ----------------------
초미세먼지(PM2.5) 연간 5
(Particulate matter)------------------------------------
24시간 15
------ -------------------------------------------------
미세먼지(PM10) 연평균 15
(Particulate matter) -------------------------------------
24시간 45
--------------------------------------------------------
오존(O3) 피크 계절 60
(Ozone) -----------------------------------------------
8시간 100
---------------------------------------------------------
이산화질소(NO2) 연간 10
(Nitrogen dioxide)----------------------------------------
24시간 25
------------------------------------------------------
이산화황(SO2) 24시간 40
-------------------------------------------------------
일산화탄소(CO),(mg/m3 24시간 4
-------------------------------------------------------
미국 대기질 지수(Air Quality Index, AQI)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국가대기질기준(NAAQS)을 기반으로 대기오염 상태를 시민에게 알리기 위해 초미세먼지(PM2.5), 미세먼지(PM10), 지상 오존(O3),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황(SO2), 일산화탄소(CO) 6개 오염물질을 망라하여 기준을 설정하고 색상까지 지정하였다.
2024년 미국 EPA는 대기질 지수 중 주요 오염물질인 초미세먼지(PM2.5)기준을 아래와 같이 강화하었다.
2024 미국 AQI 중 개정된 초미세먼지(PM2.5) 기준
---------------------------------------------------
AQI 건강 관련 수준 색상 기준(ug/m3)
---------------------------------------------------
0~50 좋음(Good) 녹색 0~9.0
----------------------------------------------------
51~100 보통(Moderate) 황색 9.1~35.4
----------------------------------------------------
101~150 민감군 나쁨(Unhealthy
for Sensitive Groups) 오렌지색 35.5~55.4
----------------------------------------------------
151~200 나쁨(Unhealthy) 적색 55.5~125.4
----------------------------------------------------
201~300 매우 나쁨(Very Unhealthy) 주황색 125.5~225.4
----------------------------------------------------
301~500 위험(Hazardous) 적갈색 225.5 이하
------------------------------------------------
지난 10월 18일 기준 세계 10대 대기질 최악 도시는 인도 델리(AQI 526), 파키스탄 라호르(312), 인도 콜카타(183),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181), 중국 베이징(180), 방글라데시 다카(177), 인도 뭄바이(172), 중국 우한(172), 보스니아 사라예보(172), 중국 상하이(167) 순이고 서울(62)은 63위를 기록했다.
IQAir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 짙은 스모그가 발생한 10월 30일 오전 6시 미세먼지(PM2.5)농도는 10ug/m3로 WHO의 권고기준을 2배 초과하였다.
전반적인 대기질은 10월 31일 AQI 74, 11월 1일 78, 11월 2일 66, 11월 3일 62, 11월 4일 56으로 보통(Moderate)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10월 30일 서울시 대기질(ug/m3)
---------------------------------------------------------
(10월 30일) (11월 1일) (11월 4일) 오염물질 06:00 06:00 06:00
---------------------------------------------------------
초미세먼지(PM2.5) 10 12 21 12
미세먼지(PM10) 19 22 32 22
오존(O3) 48 82.2 10.6 82.2
이산화질소(NO2) 44.7 27.6 65.1 27.6
이산화황(SO2) 7.3 6.6 7.3 6.6
일산화탄소(CO) 549.6 383.6 618.3 383.6
-------------------------------------------------------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의 스모그,
서울시는 ‘서울 비전 2030’을 통해 안전한 서울시 재건 전략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대기오염물질을 50%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분야별로는 대기오염물질 전체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자동차 분야 24,600톤, 배출량의 24%를 차지하는 난방-발전 분야에서 11,000톤, 배출량의 36%를 점유하는 건설기계분야에서 8,600톤, 총 44,200톤을 2030년까지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IQAir에 따르면 2024년 10월 18일 06 : 43 기준 세계 대기오염 최악 10대 수도는 인도 델리(AQI 526), 파키스탄 라호르(312), 인도 콜카타(183),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181), 중국 베이징(180), 방글라데시 다카(177), 인도 뭄바이(172), 중국 우한(172), 보스니아 사라예보(170) 중국 상하이(167)순이었고 우리나라 수도 서울(66)은 44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의 초미세먼지(PM2.5)의 30~50%는 인접국 중국에서 영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은 세계 온실가스의 최대 발생원으로 2020년 123억 톤의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였다. 이는 지구온실가스의 27%에 해당하는 것으로 CAIT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나 있다.
대기질은 측정 시점, 장소, 기상 조건에 따라 수치가 상이하며 변화무쌍하다. 지구가족은 매순간마다 면전의 공기를 호흡하야야 하며 선택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각국은 최상의 대기질 보전을 위해 국가의 최우선 사업으로 채택하여 추진하고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