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통령기록관, 전통의상 등 '직물·가죽' 보존처리 안내서 발간
기사수정


대통령기록물은 대통령의 직무수행과 관련해 대통령, 대통령의 보좌기관· 자문기관 및 경호업무 수행기관이 생산·접수한 기록물 및 물품을 말한다. 


세계 각국의 전통의상이나 카펫, 도자기, 가방 등 공예품과 같이 다양한형태와 재질의 행정박물들을 포함하고 있어 보존 시 각별한 취급이 필요하다.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은 6월 14일(금), 직물‧가죽 재질의대통령선물·행정박물의 보존처리 사례를 유형별로 정리한 ‘대통령기록물보존 안내서(가이드북) - 직물‧가죽 보존처리편’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특히, 사진과 영상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책자로 발간해각 단계별 보존 절차와 주의사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안내서는 대통령기록관 대표 누리집(www.pa.go.kr)에서 누구나 내려받기(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각 영상자료는 대통령기록관 공식 유튜브 채널(youtube.com/@Parchives)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주요내용은 기록물의 형태에 따른 4가지 유형의 보존방법으로 접어보관, 채워보관, 말아보관, 형틀제작의 적용과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먼저, 크기가 큰 평면형 의복류는 접어보관으로 보존한다. 1999년 한-몽정상회담시 받은 몽골 전통의상 ‘델’의 경우 우리나라 한복과 같이 평면 재단된 옷이기 때문에 가급적 큰 크기로 옷을 개고 접히는 부분에는 보존용지를 말아 끼워 보관해야 추가 훼손이 없다. 


반면, 공식행사용 ‘연미복’은 서양 복식으로 몸의 굴곡에 맞춰 입체적으로재단된 옷이므로, 옷 형태에 맞춰 제작한 솜포를 채워 형태가 흐트러지지않도록 채워보관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또한, 옷감과 카펫류에 적용하는 말아보관은 지름이 큰 봉에 말아서 보존하는 방법으로 ‘아라베스크 문양 금사 직조 카펫’을 사례로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가방‧신발 등 잡화류는 형틀제작 방법을 사용한다. 소개된 사례 중 아프리카 니제르공화국 정상 회담 선물로 받은 ‘전통 가죽신’과리투아니아공화국의 ‘전통 가죽 물병’은 기록물에 대한 맞춤형 형틀제작을 통해 손상을 최소화하고 보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방법을 적용했다. 


한편, 대통령기록관은 기록물의 보존성 향상을 위해 지난해 직물과 가죽류 대통령 대통령선물·행정박물 총 503점의 오염을 제거하는 등 집중적인 보존처리를 추진한 바 있다. 


이번에 발간한 안내서는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인 대통령실과 전직 대통령 기념재단 등 46개 유관기관에 배포할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fksm.co.kr/news/view.php?idx=670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